알아두면 투자에 도움 되는 ISM지수
경제를 구성하는 3개의 주체는 가계(소비자), 기업, 정부예요. 각 주체의 생각을 알면 앞으로 경제가 어떻게 움직일지 가늠해 볼 수 있는데요. 기업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가 바로 PMI(Purchasing Manager's Index, 구매관리자지수)예요. 그중에서도 미국의 PMI를 ISM 지수라고 부릅니다.
[목차여기]
ISM 지수란
ISM 지수는 '소비자심리지수'의 미국 기업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돼요. 기업의 구매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해 만드는 지표거든요.
설문조사 내용을 한 줄로 요약하면 이거예요.
"앞으로 경기가 좋을 거라고 생각하시나요?”
경기를 긍정적으로 볼수록 ISM 지수가 높고, 부정적으로 볼수록 ISM 지수가 낮아요. (높고 낮음의 기준은 50) 구매 담당자는 기업 활동에 필요한 원자재를 조달하는 사람이에요.
그들이 앞으로 경기가 좋을 거라고 여긴다면, 그만큼 기업의 생산량이나 원자재 구매량도 늘어날 확률이 높겠죠.
즉, ISM 지수는 구매 담당자의 답변을 통해 기업의 '심리'를 예측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ISM 지수가 중요한 이유
첫째, 빠르다.
매달 초 발표되기 때문에 가장 빠르게 지금의 경제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져요.
둘째, 미국 경기는 중요하다.
미국은 글로벌 경제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예요.
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죠. 예를 들어 한국의 수출 실적은 ISM 제조업 지수와 매우 유사한 흐름을 보여요.
따라서 미국 주식에 투자하지 않는 분이라도 ISM 지수를 주의 깊게 보시면 투자에 도움이 되실 거예요.
제조업 ISM과 서비스업 ISM
ISM 지수는 제조업과 서비스업(비제조업)으로 나눠 두 종류를 만들어요.
ㆍ 제조업: 신규 주문, 고용, 생산, 원자재 배송, 재고
ㆍ 서비스업: 신규 주문, 고용, 원자재 배송, 기업 활동
상대적으로 제조업이 서비스업보다 경기에 민감하기 때문에 더 많은 주목을 받아요.
다만, 최근엔 파월 연준 의장이 서비스업을 인플레이션의 복병으로 지목하면서 서비스업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어요.
by. toss bank
이런 '주식 정보'는 어떠세요?
주린이를 위한 자산배분 투자 전략
혹시 요동치는 주가 때문에 마음 졸인 적 있나요? 주식은 큰 수익률을 노릴 수 있지만, 그만큼 변덕스러운 것도 사실이죠.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High Risk High Return)' 보다는 안정적인 투자에 관
ganonga.tistory.com
더 많은 '주식 정보'를 확인해 보실 수 있어요.
자산상회
자산상회(資産上廻)
ganong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