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관리의 모든 것

당신의 자산에 유용한 정보만 알려드립니다

주식

지긋지긋한 FOMC로도 수익 낼 수 있다?

가논가 2023. 6. 3. 06:00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미국 연준의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이 날만 다가오면 미국 시장, 한국 시장 할 것 없이 모두 요동치곤 하죠. 문제는, 현재 기준으로(2022.07.14) FOMC가 4번 더 남아 있다는 거예요. 그러면 이 때마다 요동치는 주가를 그냥 지켜만 봐야 하는 걸까요?

 

물론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는 없지만... 저라면 이렇게 대비할 것 같아요! 

 


[목차여기]

 

fomc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

 

무시무시한 FOMC? 사실은요...

올해 진행된 4번의 FOMC. 당시 주가 흐름이 어땠는지 먼저 보여드릴게요.

 

FOMC 전후 나스닥 지수 흐름
FOMC  전후 나스닥 지수 흐름

 

FOMC 당일을 기준으로 주가는 'V흐름을 보였어요.

FOMC가 다가올수록 주가는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다, 막상 FOMC가 지나면 반등했던 건데요.

 

5월에는 이후 내림세를 타긴 했지만, 적어도 당일은 주가가 반짝 오를 수 있었어요(나스닥: +3.2%).

 

물론 종목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우선 나스닥 지수를 기준으로 살펴보자면요.

 

만약 2~3일 전 매수하고 당일 매도했다면 평균 3.7%의 수익을 낼 수 있었고요, 가장 크게 반등했을 때 매도 시점을 잡았다면 5.2%까지도 가능했어요. 지수 변동을 역이나 배로 반영하는 인버스, 레버리지 ETF 없이도요.

 

'V자흐름왜일까?

그 배경엔 다름 아닌 '인플레이션'이 있어요.

끝을 모르고 이어지는 인플레이션에 연준도 극강의 긴축 정책을 들고 나온 건데요. 더욱 자세한 내용은 아래 버튼을 눌러 확인하실 수 있어요.

 

FOMC 전시장 "연준 무서워!" > 주가하락

FOMC 후 - 시장 "생각보다 괜찮네?" > 주가상승

 

“그런데 그건 과거 얘기고... 앞으로도 'V자' 흐름이 이어질 걸 어떻게 알죠?”

 

이유는 간단해요. 앞선 모든 상황의 근원, ‘인플레이션'이 계속 진행 중이기 때문이에요.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추이
미국 소비자물가 지수 추이

 

 

2022년 6월 13일(현지시간)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공개됐는데요, 결과는 전년 대비 9.1% 상승! 무려 41년 만의 '역대급' 수치가 나왔어요. 시장 예상치였던 8.8%보다도 높았죠.

 

상황이 이렇다 보니, 인플레이션이 빠른 시일 내 잦아들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아요. 가장 큰 문제였던 유가가 최근 고공행진을 멈추었다 해도요.

 

결국 연준으로선 계속해서 금리를 올리고 나설 수밖에 없습니다. (7월 FOMC에선 연준이 약속한 대로 '0.75%p 인상'이 이뤄질 거란 게 시장의 대세론이었는데, 6월 CPI가 발표된 지금은 ‘1.0%p 인상' 확률이 78%까지 높아졌어요.)

 

‘V자흐름그래서 어떻게 활용하지?

2022년 7월 17일 기준으로 7/27, 9/21, 11/2, 12/14. 올해는 이렇게 4번의 FOMC가 더 남았는데요.

FOMC 전에는 떨어지고, FOMC 이후엔 오르는 나스닥 주가 패턴을 전제했을 때,

 

ㆍ 갖고 있는 주식을 팔까? 고민 중이라면

주가가 가장 낮아졌을 FOMC 직전·직후는 피하시는 게 좋고요.

 

ㆍ 눈여겨보고 있던 주식을 살까? 계획 중이라면

FOMC를 앞두고 주가가 떨어지는 시기가 좋을 기회가 될 수 있어요. 특히 FOMC 2~3일 전에는 주가가 안정되는 모습을 보였으니, 이 때를 챙겨보시면 좋을 듯해요.

 

ㆍ 좀더 빠른 호흡의 단기 투자를 시도하고 싶다면

FOMC 2~3일 전에 매수하여, FOMC 당일부터 매도하는 방식도 가능해요. 물론 당일 이후에도

상승세가 좀더 이어질 수 있겠지만, 지난 5월의 경우 FOMC 당일 이후 주가가 바로 급락세를 탔다는 점을 유의해주세요.

 

마지막으로손해를 줄이려면 꼭 읽어주세요.

위에 소개드린 내용은 모두 향후 시장상황이 크게 바뀌지 않을 경우를 전제로 합니다.

 

지금으로선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으나, 예상과 달리 갑자기 물가가 안정된다면? 연준의 행보에도 변화가 생길 수 있어요. 그렇게 되면 위에 소개드렸던 투자법도 더 이상 통하지 않게 됩니다.

 

인플레이션 상황을 계속 예의주시하면서 남은 현재 기준으로(2022.07.14) 4번의 FOMC를 보다 현명하게 대비하시면 좋을 듯해요.

 

토스증권 애널리스트 한상원 

by. toss bank

 

*해당 글은 2022.07.14일 날 작성된 기사이므로 현재 기준으로 다를 수 있습니다.

투자에는 여러 관점과 방법이 있다는 점을 알려드리고 싶어서 2023년임에도 2022년 글을 인용함을 주의해 주십시오.

 

아래 '자산상회' 링크에서 더 많은 주식 정보를 확인해 보세요.

 

자산상회

자산상회(資産上廻)

ganonga.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