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관리의 모든 것

당신의 자산에 유용한 정보만 알려드립니다

반응형

증권사 일 2

증권 산업 뜯어보기 2편 : 소유 구조에 따른 증권사들의 차이

[목차여기] 증권 산업 소유 구조에 따른 차이 국내 증권사는 소유 구조에 따라 산업계와 은행계, 전업계로 나뉘어요. 산업계는 삼성, 현대, 대우 등 대기업의 계열사로 이뤄져 있고, 은행계는 농협, 국민은행 등의 계열이죠. 그리고 전업계는 투자 자본이 모여 설립한 증권사들이에요. 이렇게 소유구조에 따라 나뉘는 증권사들은 각기 다른 성향을 보여요. 과거 대부분의 국내 증권업은 대기업 산하 증권사가 선두에 섰어요. 그룹의 브랜드를 바탕으로 위탁매매 부문에서 입지를 확보하고, 계열사 퇴직연금을 관리하며 경쟁 우위를 갖췄죠. 하지만 저번 시간에 언급했듯이 점점 위탁매매의 성장이 둔화하고 투자 은행 부문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유연한 대처가 어려워지자 성숙단계로 접어든 대기업들이 금융업을 분리하는 사례가 늘었어요. ..

경제소식 2023.06.07

증권 산업 뜯어보기 1편 : 증권사는 어떻게 돈을 벌까?

가장 먼저 증권사가 어떤 곳인지 알기 위해서는 우선 ‘증권'이 무슨 뜻인지 알아야 하겠죠? 증권이란, '재산적 가치가 있는 문서, 증서'라는 뜻인데요. 그중에서도 유가 증권은 가격과 같은 재산적 가치가 표기되어 있는 증권으로, 어음, 수표, 주식, 채권 등이 속하죠. 증권사는 쉽게 말해 '기업을 위해 주식과 채권을 만들어주고 이것을 거래하려는 투자자들을 위해 대신 주식과 채권을 사고팔며, 그와 관련된 업무를 하는 회사'라 할 수 있어요. [목차여기] 증권사는 크게 (1) 위탁매매, (2) 자기 매매 (3) 자산관리 (4) 투자은행 네 가지로 돈을 벌죠. 증권사 위탁매매(브로커리지) 증권사는 투자자의 주식 매수·매도 과정을 대신 처리하고 수수료를 받아 수익을 내요. 이 위탁매매는 국내 증권사의 주요 수익원..

경제소식 2023.06.07
반응형